본문 바로가기

전공 공부19

원가관리 원가관리 1. 일반사항 원가관리란 경제적인 시공계획을 세워 실행예산을 작성하고, 공사 시작부터 공사가 끝날때까지 실제공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입니다. 건설공사에서 원가관리 업무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가장 경제적인 시공계획을 세워서 이것을 기초로 원가의 기준이 되는 실행예산을 설정하는 작업 ② 실제원가와 실행예산을 비교해서 차이를 분석 · 검토하는 작업 ③ 실적자료를 이용, 시공계획을 재검토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하는 작업 2. 원가관리의 필요성 · 순서 · 통제 (1) 원가관리의 필요성 ① 타사와의 수주경쟁에서 공사를 수주하려면 수익성이 저하되기 마련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원가관리가 필요합니다. ② 물가가 상승하면 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그만큼 원가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됩니다. ③ .. 2022. 7. 2.
품질관리 품질관리 1. 개요 건설공사의 품질관리는 공정관리, 원가관리, 안전관리, 환경관리와 함께 공사의 5대 관리 업무의 하나로 품질관리를 줄여서 Q.C.(Quality Control)라고도 합니다. 품질관리는 통계적인 수단을 채용하기 때문에 특히 통계적 품질관리를 SQC(Statistical Quality Control)라고 합니다. 품질관리를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조사, 연구, 개발, 기획, 설계, 시공 준비, 구매, 외주, 검사, 재무, 인원 편성, 교육 등 공사를 위한 전 단계에 걸쳐 경영자를 시작으로 관리자, 감독자, 작업자 등 기업 전원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이렇듯 전원 참여에 의해 실시되어진 품질관리를 전사적 품질관리(company wide QC, CWQC) 또는 종합적 품질관리(Total .. 2022. 7. 1.
건설 VE기법 건설 VE기법 1. 개요 VE의 근본 개념은 2차 대전 직후 미국의 GE의 설계 엔지니어인 Lawrence D. Miles에 의해 개발 · 정립되었습니다. 가치공학(VE : Value Engineering)은 대체안 개발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는 기법으로 공사관리의 한 수단으로써 이 기법의 우수성은 세계 각국에 널리 인식되어 있습니다. VE는 단순한 원가절감 방법론이 아니고 완성물의 품질과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주에서 불필요한 비용을 제거함으로써 최적 양질의 대안을 개발하는 기법입니다. 기능분석을 통한 창출이 프로세스의 핵심이며 목표 달성을 위해 조직적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법입니다. ◎ VE 적용시 고려사항 ① 프로젝트의 선정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물가 변동을 고려해야 하며 합리적인 수단을 .. 2022. 6. 30.
시방서 시방서 1. 시방서의 개요 시방서는 Spec 또는 Specification이라고 합니다. 시방서란 설계도에 기재할 수 없는 사항(재료의 품질, 시공 방법, 공사의 질, 시험방법, 계약조건 등)을 글로 써서 나타낸 문서입니다. 시방서의 기재 내용은 공사개요와 시방으로 되어 있으며, 공사개요는 시공 장소 · 공사종목 · 공사내용 · 건축물의 구조·수량·면적·별도 공사 등을 기입하고 시방에는 공정에 따른 상세한 공사별 시방 내용이 기입되어 있습니다. 시방서의 개괄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시방서의 적용 범위, 공통의 주의 사항 ② 사용 재료(종류, 품질, 수량, 필요한 시험, 저장 방법 등) ③ 시공 방법(준비사항, 공사질의 정도, 사용기계기구, 공정, 공법, 주의사항, 금지사항 등) ④ 필요한 시험 .. 2022. 6. 29.